대전 청소년성문화센터 위탁 놓고 시민단체 반발, ‘철회’ 요구 확산 (한국NGO신문 12월 11일자)
페이지 정보
본문
대전시가 청소년성문화센터(이하 성문화센터)를 운영할 기관으로 ‘넥스트클럽 사회적협동조합(이하 넥스트클럽)’이라는 단체를 선정한 것을 두고 지역 시민단체는 물론, 청소년 관련기관들이 잇따라 철회를 요구하고 나서며 논란이 커지고 있다.
대전시는 지난 11월 24일, 2023년 1월 1일부터 2025년 12월 31일까지 3년간 성문화센터를 민간위탁할 단체로 ‘넥스트클럽 사회적협동조합’을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넥스트클럽은 지난 2011년 설립된 개신교 기반 단체로, ‘우리의 미래를 이끌어갈 다음 세대에게 건강한 성의식을 갖출 수 있도록 교육하며 청소년들에게 흡연예방, 생명존중교육을 통해 건강한 가치관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일에 최선을 다하고자 설립된 단체’라고 설립 목적을 밝히고 있다.
넥스트클럽 사회적협동조합, 종교적 정치색 짙어 반인권단체라는 지적 존재
하지만 대전 지역사회에서는 혼전 순결이나 차별금지법 반대 이슈를 강하게 강조해 온 기관으로, 순수한 청소년단체라기보다는 정치적, 종교적 색깔을 지나치게 내세우는 편향된 단체라는 지적을 받아온 것으로 알려졌다.
2020년 4월에는 대전시교육청의 학생 성폭력 예방교육지원 민간전문기관으로 선정된 바 있는데, 이도 학생인권법을 반대하는 당시 교육감 입김이 있었다는 의혹이 일었던 것으로 확인된다.
당시에도 넥스트클럽이 성소수자 차별과 혐오를 조장한다는 이유로 대전지역 여성단체들과 인권단체들이 반발했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들이 주장하는 대표적 성교육은 ‘성품 성교육’이다. 청소년의 성행동과 성폭력 등 청소년기의 성문제를 인간의 본질적인 자아상 회복이라는 대전제로 성폭력 예방 및 성범죄예방 교육에서 다룬다고 홍보하고 있다.
‘성은 소중하고 아름다운 가치가 있는 것’ 이라는 성품으로서의 성을 성교육 현장에서 가르친다는 이론은 금욕주의나 혼전 순결주의를 강조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대전시 인권위원회, 대전시장에게 "선정 다시 하라" , 대전시는 콧방귀
상황이 이렇게 돌아가자 대전시 인권위원회가 대전시의 청소년성문화센터와 인권센터 수탁기관 선정 결과 철회와 재수탁 절차 추진을 이장우 대전시장에게 요구하기로 결정했다.
대전시 인권위원인 강영미 대전참교육학부모회 대표는 본 기자와의 인터뷰에서 “인권위원회가 지난달 30일 긴급 회의를 소집해 이를 논의하고 서면 심의를 통해 12명중 9명이 찬성, 시장에게 재수탁 추진을 요구하기로 했지만, 이장우 시장은 면담을 피하고 있다. 명목은 일정이 바빠서라고 하는데, 대전시 공무원들이 시장에게 보내는 인권위 요구서 제출도 방해해 일부로 면담 자체를 피하는 것으로 보인다”며 대전시장과 대전시를 강하게 비판했다.
대전시 시민사회단체 전부 모여 강력 반발, '대전 비상행동' 구성 대전시 성토
대전지역 시민사회단체들도 이같은 소식이 알려지자 75개 인권·여성·시민·사회단체 및 진보정당 등이 모여 ‘반인권단체의인권기구장악대응, 대전비상행동(이하 대전인권비상행동)’을 구성하고 지난 6일, “대전시는 청소년성문화센터와 인권센터 수탁기관 선정을 철회하고 다시 절차를 밟아 수탁기관을 재선정하라”고 촉구하고 나섰다.
대전시가 청소년성문화센터뿐 아니라 인권센터의 위탁도 동성애 반대나 차별금지법, 학생인권법 반대 활동에 앞장서는 ‘한국정직운동본부’를 선정했는데 이 인권센터나 청소년성문화센터 모두 ‘인권’에 관한 기관임에도 반인권적이고 종교적 정치성이 다분한 기관을 선정했다는 것이 주된 이유다.
대전인권비상행동은 ▲ 이장우 대전시장 사과 ▲ 수탁기관 재선정 ▲ 수탁기관 선정 심사위원회 구성 및 심사 결과, 회의록 공개를 요구했다.
다음날 7일에는 한국청소년성문화센터협의회도 성명을 내고 “성차별과 혐오를 부추기는 단체에 청소년성문화센터를 맡길 수 없다”며 대전시를 상대로 수탁기관 선정 철회를 요구하고 나섰다.
한국청소년성문화센터협의회, "대전시 위탁기관 선정 황당하다 못해 분노"
이들은 “청소년성문화센터의 성교육은 여성가족부의 아동청소년 성인권의 보장과 성인지 감수성 향상을 목표로 해야 하고 국제사회의 인권과 성평등에 기반한 포괄 적성교육 기회 보장 권고에 근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그러함에도 넥스트클럽은 국가 인권 기본정책, 차별금지법, 학생인권 반대운동을 전개해 왔고 소위 ‘성품 성교육’의 대표적 강사진들도 혐오와 차별주의 진영의 강사들이다”라며 “이런 성차별적이고 반인권적인 조직이 대전광역시 청소년성문화센터를 정상적으로 운영하는 것은 도저히 상상하기 어렵다”고 강도높게 비판했다.
한국청소년성문화센터협의회는 ▲ 선정 결과 철회 및 재선정 ▲ 고용승계에서 센터장이 제외된 사유 공개 ▲ 심사위원 명단, 심사과정, 심사기준 및 점수 공개를 대전시에 요구하고 여성가족부에는 대전시의 위탁단체 선정 과정이 여가부 지침을 준수했는지 조사를 요구했다.
하지만 대전시는 ‘인권센터나 청소년성문화센터 모두 관련 조례에 따라 공정하게 심사해 선정했다’며 결과를 번복할 뜻도 없고 시민단체들이 요구한 회의록과 위원 명단 공개도 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이장우 대전시장이 사실상 이를 번복할 마음이 전혀 없다는 것이 확고하다는 것인데, 정치성이 편향된 종교단체가 청소년성문화센터와 인권센터를 맡아 운영하는 것을 두고 대전을 넘어 다른 지역까지 황당하다는 반응이 나오고 있어 논란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관련링크
- 이전글365일, 24시간 청소년 모바일 상담 ‘다들어줄개’ 2022.12.09 교육부 22.12.12
- 다음글□ 2021년 학생 건강검사 표본통계 결과 발표 (교육부) 22.12.1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