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한국청소년정책연대의 궁금한 사항을 검색해보세요.
HOME

관련뉴스

[경향신문] 위기청소년 발굴부터 공부까지…청소년정책 화두는 ‘디지털’

페이지 정보

작성자토토로[210.♡.250.7]

본문

위기청소년 발굴부터 공부까지…청소년정책 화두는 ‘디지털’

2023.02.27 15:39 입력

김현숙 여가부 장관. 연합뉴스

김현숙 여가부 장관. 연합뉴스

데이터를 통해 도움이 필요한 위기청소년을 발굴하고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이 마련된다. 청소년이 디지털 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지원도 강화한다.

여성가족부는 제19차 청소년정책위원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제7차 청소년정책 기본계획’을 의결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기본계획은 올해부터 2027년까지 청소년 정책의 주요 정책 기조가 된다.

여가부는 이번 기본계획에서 ‘디지털’에 초점을 맞췄다. 여가부는 “30년간 이어져 온 청소년정책은 최근 급격한 사회변화로 새로운 기회와 도전에 직면해 있다”며 “디지털 네이티브인 청소년이 필요한 역량을 충분히 키워나갈 수 있도록 ‘디지털 시대를 선도하는 글로벌 케이(K)-청소년’을 비전으로 삼았다”고 했다.

우선 위기청소년 발굴부터 자립까지 모든 과정을 데이터를 통해 관리하는 ‘위기청소년통합지원정보시스템’을 2024년까지 구축하기로 했다.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온라인 플랫폼도 단계별로 고도화해 지원 연계를 위한 정보공유를 강화한다.

청소년의 역량 강화를 위해서는 초·중·고등학교에 설치된 소프트웨어 영재학급을 현행 45개에서 2025년 70개까지 확대하겠다고 했다. 청소년수련시설에서 코딩·인공지능(AI) 관련 활동 프로그램도 확대 운영한다.

청소년들이 어려워하는 금융·경제 교육부터 각종 활동 프로그램도 플랫폼을 구축해 제공·관리한다. 활동 이력, 예약 등을 통합 플랫폼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자는 취지다. 디지털·미디어 문해력 교육 프로그램도 제공한다.

디지털 확산에 따른 유해환경도 손본다. 여가부는 올해 아동·청소년성착취물 실태조사를 처음으로 실시한다. 디지털성범죄물 유통 방지를 위해 성범죄물의 ‘디지털 DNA’를 추출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온·오프라인 도박과 마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담서비스나 치유프로그램, 예방교육 등을 계속 시행한다.

여가부는 이 같은 정책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청소년을 바라보는 관점을 ‘육성 대상’에서 ‘주체’로 바꾸는 청소년기본법 개정을 추진하겠다고도 했다.

김현숙 여가부 장관은 “이번 기본계획을 내실 있게 추진함으로써 우리 청소년이 디지털 시대를 선도하는 역량있는 글로벌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해 나가겠다”고 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